basement workshop  +  ground architects

about          people          news          contact


haga escape, jeju (works at fig.architects / co-work with eggplant factory)



비일상적 머무름을 위한 두 가지 제안













비일상의 풍경과 공간


 제주에 지어진 이 집들은 보통의 생활을 위한 집이 아니다. 여러 사람들이 짧게 머무르며 점점 줄어드는 시간을 아쉬워할 수밖에 없는, 여행자의 집이다. 사람들이 특별히 제주를 찾는 이유는 일상적이지 않음 때문이다. 제주는 섬이며, 화산이다. 바다의 빛은 푸르고, 돌은 검다. 사람들은 다른 말로 이야기하고, 풀과 나무는 낮고 풍성하다. 이 모든 것들로 하여금 제주의 풍경은 보통의 일상과 다름을 느끼게 한다.
 이 집에 대한 상상의 단초는 비일상적 풍경과 공간이다. 여행자를 위한 집을 계획하는데 앞서 제주의 비일상적인 풍경과 그것을 담는 공간에 대해서 고민하였다. 제주에서의 풍경은 바라봄의 대상이며 동시에 경험의 대상이다. 한라산과 오름, 수평선은 우리가 제주에 있음을 알게 하며, 돌담과 마을, 귤밭과 온화한 공기는 걷고 만지고, 때로는 쉬게 한다. 이런 두 가지 층위의 경험이 제주만의 특별함을 만든다. 한편, 제주의 공간은 돌담에서 시작된다. 마을 입구에서 시작된 돌담은 올레를 이루어가며 때로는 대문이 되고, 지붕을 받치는 벽이 되기도 하며, 아늑한 중정을 만드는 경계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이어지는 돌담의 흐름은 다시 올레를 이루고 공간을 만들며 제주의 마을이 된다. 경계를 넘나들며 공간을 만들어내는 돌담의 흐름은 낮은 지붕과 회벽, 낯선 식물들과 어우러지며 다양한 풍경을 만들어내고, 올레로부터 바깥채, 마당, 안채, 안마당으로 이어지는 공간의 켜는 그 끝에서 깊은 아늑함, 옴팡짐을 느끼게 한다. 하가리에 지어진 이 여행자의 마을은 제주의 원경을 담고, 근경을 경험하게 하며, 제주의 공간과 마을이 만들어지는 방식을 닮도록 하였다.


풍경을 담는 방법


 제주의 서쪽, 하가리에 위치한 대지는 한편으론 주변 밭 너머로 한라산과 낮은 오름이 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은 마을 너머 애월 바다의 수평선이 보인다. 대지가 갖는 이 변치 않을 원경과 다르게, 근경은 조금씩 변하고 있고 이 변화는 우리가 기대하는 제주의 풍경에서 거리가 먼 것일 가능성이 많았다. 따라서 우선 1,600평이 넘는 큰 대지를 세 덩어리로 나누어, 새로 계획할 마을과 그 너머의 풍경 사이에 여지를 마련하였다. 집들이 앉혀질 가운데의 대지는 우리가 확보한 제주의 근경과 그 뒤로의 풍경에 적극적으로 관계하도록 계획의 방향을 잡았다.
 마을 옆의 두 밭은 각각 경험을 위한 귤 밭과 관조를 위한 계절 작물의 밭으로 성격 지었다. 이 집에 머무는 이들은 귤 밭을 통해 제주 농가의 삶을 체험하고,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너른 밭을 감상하며 제주의 근경을 경험한다. 이러한 두 밭과 마을이 만나는 경계는 필연적으로 각각 다른 제스쳐를 취해야 했다. 귤 밭과 만나는 경계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큰 홀과 마당을 계획하였고, 다른 하나는 극적인 시각적 연계를 위해 긴 조망공간을 계획하였다. 이는 다시 이 경계에 놓이는 집의 유형과 관계하여, 전자는 켜켜의 외부공간을 통해 공간적 층위를 만들어내는 깊은 집과 후자는 수평선과 지평선의 압도적인 뷰를 마주하기 위한 전망대인 긴 집으로 이어진다. 전자는 경험적이고 아기자기한 풍경에 대한 대응이라면 후자는 시각적이고 압도적인 풍경에 대한 대응이다.  
 

마을과 공간을 만드는 방법


 우리는 제주의 공간을 형성하는 논리로 돌담에 의한 연속적 공간구성에 대해 집중하였고, 이를 통해 제주의 마을과 집이 갖는 공간적 특징과 관계를 하가리의 대지로 옮겨오려 하였다. 대지 전체를 아우르며 돌담은 콘크리트와 함께 공간과 경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가 공간을 구축하고 경계를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한다면, 돌담은 다시 그 경계를 느슨하게 조정하고 다양한 공간의 켜를 만들어낸다. 돌담과 콘크리트의 조합은 집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풍성한 풍경을 만들어내며 공간의 깊이를 형성한다.
 깊은 집에서 돌담은 진입 동선을 따라 다양한 외부공간을 형성한다. 마을 길에서 이어지는 골목을 거쳐 작고 깊은 모래 마당을 만나고, 다시 좁은 골목을 지나 바깥마당으로 진입한다. 바깥채와 바깥마당은 외부의 풍경을 받아들여 개방적 공간감을 갖도록 계획하였다. 안채에 들어가기 위해선 다시 작은 정원을 거쳐야 하며, 이 작은 정원은 깊은 처마와 높은 담을 통해 외부의 풍경과 내밀한 공간 사이에 심리적 완충 역할을 하도록 두었다. 안채를 거쳐야만 갈 수 있는 중정은 외부임에도 가장 내밀한 공간감을 가지며, 돌담과 콘크리트가 만들어내는 여러 켜의 풍경 너머 제주의 원경을 담는다.
 긴 집에서의 돌담은 마을의 끝을 형성한다. 돌담을 지나 펼쳐지는 풍경은 마을의 작고 아늑한 공간감에서 광활하게 펼쳐지는 바다와 들의 수평선과 지평선으로 극적 반전을 이룬다. 실내에서 다시 드러나는 돌담과 콘크리트, 투명한 유리로만 구획된 기다란 공간은 외부의 공간감을 실내로 끌어들여 마을의 끝에서 제주의 풍경과 오롯이 대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일상적 머무름을 위한 두 가지 제안

 
 처음, 이 프로젝트는 제주의 비일상적 풍경과 공간을 어떻게 담을지에 대한 같은 물음으로 시작되었지만, 그에 대한 대답은 깊은 집과 긴 집이라는 대비되는 두 가지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여행자라는 무명 다수의 건축주와 제주도의 다양한 풍경은 운이 좋게도 넓은 대지와 열린 설계조건과 만나 다양한 공간을 펼쳐놓을 수 있게 하였다. 깊은 집의 켜켜의 공간으로 숨어들어 풍경과 만나는 방법과 긴 집의 넓고 적막한 공간에 떨어져 나와 풍경을 마주하는 방법은 이 집을 방문할 이름 모를 여러 여행자를 위함이기도 하지만, 각각의 여행자에게 제주의 풍경을 느끼게 하는 여러 제안이기도 하다.




a relative bigness (works at fig.architects / co-work with eggplant factory)



상대적 거대함




















크다는 것의 의미


 ‘크다’의 개념은 반드시 비교의 대상을 필요로 한다. 우리가 어떠한 것이 ‘크다’라고 느낄 때에는 기대하는 크기의 비교 대상이 존재한다. 도시에서 건축물에 대하여 크다고 이야기할 때 비교의 메커니즘은 복잡하다. 옆 건물의 크기, 건물이 들어선 길의 폭, 건물의 기능, 심지어는 자신이 지내는 공간 등에 의해 우리는 매우 복합적인 잣대로 크기에 대해 판단한다. 결국 ‘크다’란 시각적, 혹은 경험적 비례의 문제이며 큰 건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평가의 대상으로써 A뿐만 아닌 비교의 대상인 B에 대한 정의도 매우 중요하다.
50평이 채 안되는 작은 대지는 4미터의 골목을 사이에 두고 저층 주거지역에 맞닿아 있지만 제도적으로는 도심의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는 도산대로 최고 높이 지정구역에 속해있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거대함과 왜소함의 상반된 가능성을 갖는 대지는 공간을 계획하는데 앞서 특별한 전략을 필요로 했다.
 
 

‘큼’의 방법론


도시에서 7층짜리 건물은 거대하다고 할 수 없지만 20미터 높이의 바위는 분명 거대하다. 비교의 대상이 건물이 아닌 재료의 차원으로 환원되는 순간, 크기에 대한 판단은 달라진다. 우리는 이 집을 120평짜리 작은 건물이 아닌 1,500㎥짜리 바윗덩어리로 보이게 하기 위해 건물의 흔적을 지우고 물성이 최대한 강조되도록 계획의 방향을 잡았다.
우선 건축물의 법정 최대 볼륨을 형태적으로 단순화하여 7개의 묵직한 덩어리를 계획하였다. 이중 2개의 덩어리는 투명한 덩어리로 계획하여 채광과 환기를 담당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나머지 덩어리들이 기능적 오프닝에서 자유롭도록 하였다. 커튼월로 구성된 투명한 덩어리에는 다시 각종 구축의 디테일을 감추기 위해 깊은 루버를 두었다. 인조 석재 패널로 만들어진 5개의 바윗덩어리는 그 패널 모듈 안에 건축물이 갖는 기능적 흔적들을 모두 감추었다. 출입문과 전망창들은 마감된 재료와 덧문에 의해 드러나지 않는다.
건물 전체를 지배하는 400*2,000의 모듈은 건물 외피 요소의 최소공배수가 됨과 동시에 전체 빌딩과 비슷한 비례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약 1,500번 이상 반복되는 이 모듈은 반복적 구성을 통해 분절이 아닌 오히려 하나의 덩어리임을 강조한다. 수많은 작은 모듈은 개별적인 존재감을 갖기보다는 전체를 구성하는 텍스쳐로써 존재한다.
대지와 만나며 7개의 덩어리들은 주차를 확보하기 위해 필로티가 되어야만 했다. 우리는 기둥 대신 콘크리트 덩어리로 들어올려진 덩어리들을 지탱하게 하였다. 바닥에서 융기된 듯한 이 콘크리트 덩어리는 땅속에 또 다른 덩어리들이 숨어있음을 암시하여 관찰자로 하여금 거대함을 연상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최대한의 공간


도시 공간에 놓인 집의 비례적 크기와 별개로 실제 내부 공간의 크기는 절대적인 수치에 좌우되었다. 특히나, 작은 땅의 높은 집에서 수직 동선이 차지하는 면적은 비대하였고, 요철이 많은 집의 두꺼운 외벽은 내부 공간을 압박했다. 각종 규제에 의해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공간은 최상층에 가서는 너무 작은 공간을 남겨주었다. 내부의 공간을 구성하는데 앞서 기술, 제도적으로 낭비 없이 최대치의 공간을 갖는 빌딩시스템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가 있었다.
우선 우리는 이 집이 가질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수직 동선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작은 계단을 만들기 위해서 3미터 이내의 층고를 갖도록 계획하였고, 2층의 계단을 별도로 분리하여 직통계단이 연결되는 거실면적이 200㎡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낮은 층고는 계단 참의 최소 크기에 대한 규정에서, 분담된 거실면적은 계단의 최소 폭에 대한 규정에서 자유롭게 해주었고, 여기에 4인승 초소형 엘리베이터와 최소의 수직 설비공간이 더해져 5.5m x 2.1m 크기의 코어를 계획할 수 있었다. 약 3.5평의 이 코어는 결과적으로 보통의 7층 건물에서 계획되는 코어의 절반 정도 밖에 안 되었다.
다음으로는 외벽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외장재로 10mm 두께의 인조 석재패널을 사용하고 내부를 골조 그대로 노출 콘크리트로 마감하였다. 동시에 외단열을 적용하여 법적인 면적 측정의 기준점이 벽체 전체가 아닌 구조체 중심이 되도록 하였다.  둘레를 따라 100mm 이상 넓어진 바닥면적은 한 층당 1~2평 정도 공간을 넓혀주었다.
이렇게 확보된 면적에 의해 최대 볼륨을 찾아내고 난 뒤, 밀도 높은 내부 공간을 덜어내어 개방적 공간감을 만들어냈다. 2개 층이 오픈된 1층의 진입공간은 건물 전체의 로비 역할하며 도시를 향해 개방적 제스쳐를 취하도록 하였다. 2층에서 각각 4, 5층까지 열린 두 개의 빈 공간은 건물 내부에서도 다시 건물의 크기를 느끼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대형 조망창과 함께 좁은 실내에서도 너른 개방감을 느끼게 해준다. 상부층에서는 도심의 사선제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사선을 픽셀화 하는 방향을 선택하였다. 애매한 경사벽을 가진 공간을 만드는 대신 층별 작은 외부공간을 두어 내부 공간의 확장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 

(사진: 노경)



atmosphere of outside ( co-work with yul architecture)



바깥의 공간감















(사진: 노경)



easy and friendly boundaries   ( co-work with nook architects)



그럭저럭 만만한 집






















작은 중정에서의 체육관 증축


서울의 북쪽 끝, 도봉산 자락의 청원학원 캠퍼스는 두 개의 운동장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와 여자고등학교, 중학교와 남자고등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두 운동장 중 규모가 작은 쪽은 청원초등학교의 외부공간으로 사용되고 있고 운동장의 남측과 동측엔 초등학교 교사동, 북측으론 여고 교사동, 동측으로는 학원 전체의 급식실로 둘러싸인 중정의 이다. 이 작은 운동장의 편안한 공간감과 그 쓰임을 유지하며 새로운 공간을 증축하기 위해서는 체육관이라는 기능과 모순되게도 작은 집이 필요했다. 새롭게 중정의 일부를 차지하게 될 집은 작은 아이들에게 위압적이지 않은 만만함이 필요했으며 동생들에게 운동장을 양보한 언니, 누나의 공간에 미치는 환경적 변화도 최소화되어야 했다. 한편으론 5개 층의 교사동에서 시시때때로 내려다보이는 중정은 풍경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학생들의 일상에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풍경은 보다 푸르르고 보다 즐거운 것일 필요가 있었고, 자연으로써의 정원과 새로운 입면으로써 지붕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게 했다.

 

-1.8m

체육관의 높은 층고를 고려할 때, 새로운 공간의 높이는 기존의 급식실과 유사했고 이는 중정의 공간적 높이는 그대로인 상태로 한쪽 변이 20m 줄어드는 상황을 의미했다. 작은 마당에서 올려다볼 3층 규모의 건물은 더더군다나 시선의 높이가 어른에 비해 낮은 아이들에게 위압적인 풍경으로 다가올 수 있었다. 우리는 우선 건물의 시작점을 -1.8m 낮추어 큰 건물의 1/3을 땅속에 묻었다. 어른의 키만큼 낮아진 체육관의 바닥은 고창을 통해 외부와 공간적 연속성을 확보하며 동시에 위요되어 보호받는 공간감을 만든다. 바닥이 낮아진 만큼 거대하게 경사진 진입 마당은 너른 폭 그대로 실내공간으로 이어지며 쉬 드나들 수 있는 옅은 경계를 만든다. 실내에서의 경사진 마당이  만드는 풍경은 더욱 입체적이고 풍성한 자연으로 다가온다. 한편으로 운동장에서 바라보는 체육관은 낮은 일층 집 높이의 벽과 살짝 띄워진 알록달록한 지붕을 갖는 작은 집으로 느껴진다. 아치, 치장, 내력 벽돌쌓기의 구축법을 솔직히 드러낸 이 벽은 표면에 다양한 패턴을 만들며 자칫 작은 재료가 만들어내는 거대한 인상을 피한다.



3개의 집으로 둘러싸인 마당  

새로운 체육관의 공간은 각각의 재료를 갖는 세 개의 집이 모여 디귿자 마당을 만들고, 그 마당을 지붕으로 간단히 덮는 구성을 갖는다. 방풍 구조의 출입구와 실내 벤치, 방송설비 공간과 같은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벽돌집은 운동장과 새로운 마당 사이를 구획하고, 화장실을 갖는 연분홍 화강암집은 작은 골목을 만들며 급식동과 경계를 만든다. 넓적하고 낮은 짙은 색 화강암 집은 여고와 이 마당 사이에 놓여 마당 쪽에서는 체육 창고의 기능을, 여고 쪽에서는 진입로와 연결된 작은 테라스 공간은 만든다. 마당으로써의 체육관의 공간은 자연스럽게 바깥과 이어지며 거대한 빈 공간이 아닌 작은 집들로 둘러싸인 작은 외부공간으로 느껴진다.
마당을 보호하는 지붕은 광장의 천막과 같이 부유해야 했기에, 콘크리트 기둥에서 작은 철골 기둥으로 지면과의 연결을 감추고 3개의 집과 지붕이 만들어내는 경계는 투명한 유리들로 간단히 메꿨다. 전면으로는 거대한 슬라이딩 도어를 두어 경사진 정원을 통해 바로 공간과 동선이 이어질 수 있도록 했고, 운동장 측면의 창에서는 푸른 하늘, 여고 측 창에서는 언니, 누나들의 생활 모습, 급식실 측 창에서는 캠퍼스 골목의 분주한 움직임이 보이도록 했다. 마당을 덮은 지붕에 의해 자연스레 안밖에 걸친 집들은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을 더욱 연속적인 것으로 느끼게 만든다. 


        
그럭저럭 만만한집

어디서부터 인지 모르겠지만, 우리에게 집이 수단이 아닌 목적이 되어버리는 순간들이 있다. 학교에 지어지는 체육관들은 너무나도 목적인 바람에 필로티로 땅에서 들어올려지고 체육관에 들어가기 전에 깨끗한 실내화로 갈아 신어야 하며 쉬는 시간에 들어가서 자유롭게 뛰어놀다가는 선생님의 불호령이 떨어진다. 너무나도 본능적으로 집이란 삶을 위한 수단임을 알고 있는 아이들에게 어른들은 무언가의 목적으로써 그것이 이해되기를 강요한다. 우리는 새롭게 지어지는 이 체육관이 아이들에게 단순히 신체활동의 배경으로, 놀이를 위한 거대한 장난감으로 느껴지기를 바랐다. 경사진 마당을 달려 그대로 쑥 들어가는 체육관의 공간을 통해 아이들의 활동이 제약과 전환 없이 그대로 안으로 연결된다. 운동장 쪽의 벽돌에 숨어있는 작은 공간들을 통해 놀며 쉬며 건물과 아이들이 만나고 친해진다. 교사동 안에서  바라보일 지붕 또한 알록달록한 색채로 아이들을 향해 환영과 축제의 제스처를 취한다. 그럭저럭 가지고 놀만하고 만만한 공간들을 통해 아이들의 일상에서 자연스레 한 배경으로 자리 잡는 공간들을 상상한다.









(사진: 노경)



re;code pop-up store - assemble, disassemble and reuse



래코드 팝업 스토어 - 조립, 분해, 재사용


































copyright@bmws, 2018